티스토리 뷰

2025년 경력직 이력서·포트폴리오 완전 가이드. KPI 정량화, STAR 성과 서술, ATS 통과 형식, 포트폴리오 구조, 체크리스트·FAQ 포함. 헤드헌터가 먼저 연락하는 문장 구조까지 실전 위주로 정리.

이직/커리어 · 2025 가이드

경력직 이력서·포트폴리오 2025|정량지표·STAR·ATS 통과 가이드

경력직 지원자가 KPI와 STAR 기법으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정리해 ATS 통과 확률을 높이는 실제 작업 장면 채용담당자는 숫자(성과), 구조(STAR), 형식(ATS)을 먼저 확인합니다.

1) 개요: 숫자·구조·형식이 합쳐져야 합격률이 오른다

경력 채용은 “얼마나 개선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업무 목록을 길게 쓰는 대신, 역할별 핵심지표(KPI)를 숫자로, 성과 스토리는 STAR(Situation→Task→Action→Result)로, 문서 형식은 ATS가 읽기 쉬운 구조로 정리하면 서류 합격률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아래 가이드는 실제 현업 검토 흐름에 맞춰, 문장 단위까지 실행 가능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핵심 공식 · “무엇을 했는가” → “얼마나 개선했는가(%, 배, 원, pt)”로 바꾸고, 1줄 KPI 요약 + STAR 3~5줄 + 증빙/링크를 기본 단위로 고정합니다.

2) 직무별 KPI 맵: 무엇을 숫자로 보여줄 것인가

직무 대표 KPI 이력서 1줄 요약 예시
마케팅 CTR, CVR, CAC, ROAS, LTV, 리텐션 퍼포먼스 운영으로 ROAS 286%, CAC –24%, 재구매율 +7.8pt
세일즈 MRR/ARR, Win rate, ASP, Cycle 엔터프라이즈 신규 MRR +38%, 평균 영업 기간 –17일
PM/PO WAU/MAU, Retention, NPS, Conversion 온보딩 개편으로 7일 잔존 +9.4pt, 결제 전환 +6.2pt
개발 Lead time, MTTR, 오류율, Throughput 릴리즈 리드타임 –35%, 장애 MTTR –48%, 에러율 –63%
데이터 실험수·검정력, 파이프라인 안정성, SLA 데이터 파이프라인 장애율 –72%, A/B 실험 월 +11건
디자인 전환율, 테스트 통과율, 접근성 등급 체크아웃 UI 개선으로 전환 +21%, 접근성 AA 통과
CS/운영 처리량, 응답속도, CSAT, 재문의율 봇/FAQ 고도화로 응답시간 –41%, CSAT +8.2pt

숫자를 만들기 어렵다면, 간접 지표(처리량, 정확도, 시간, 비용, 만족도)를 사용하거나 범위/구간(약 ±x%)으로 제시합니다. 중요한 것은 ‘증가/감소’의 방향성과 규모가 한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3) 정량화 방법: 데이터·범위·유관지표로 바꾸는 법

3-1. 데이터 소스와 기록 습관

  • 소스: 대시보드(GA4/Amplitude/CRM), SQL 스니펫, 배치 로그, 고객 DB, 헬프데스크, 회의록
  • 습관: 분기별 “성과 스크랩 북”을 만들고 KPI 변화와 근거 URL을 함께 기록
  • 보안: 민감정보는 마스킹·익명화·범위값 사용

3-2. 변환 규칙(예 → KPI 문장)

  • “고객 불만 줄임” → 재문의율 –32% (FAQ 개편·알림봇 도입)
  • “개발 속도 향상” → 리드타임 –35%, 배포 성공률 +4.7pt (CI/CD 개편)
  • “리드 증가” → MQL +1.8배 (리드 스코어링·랜딩 AB테스트)

3-3. 범위/상대지표로 치환

절댓값을 공개하기 어렵다면 전년 대비/전 분기 대비/캠페인 대비와 같은 상대 지표로 서술합니다. “월매출 +x%”, “리텐션 +ypt”처럼 단위도 고정합니다.

4) STAR 성과 서술: 4 문단 3~5줄 압축 공식

각 경력 항목은 1줄 KPI 요약 뒤에 STAR 3~5줄을 붙입니다. 문단 수를 늘리는 대신 문장 길이를 줄여 스캔 가능성을 높입니다.

  • S(상황): 문제·현상·지표 수준 (한 줄)
  • T(과제): 목표·제약 (한 줄)
  • A(행동): 핵심 실행 2~3개 (두 줄)
  • R(성과): 숫자로 귀결 (한 줄)

예시 — “체크아웃 이탈률(42%) 개선 과제에서, 세션 리플레이+퍼널 분석으로 병목을 특정하고, A/B(3안)로 버튼·에러 핸들링을 수정해 전환 +21%를 달성. CS 문의 –14% 동반 감소.”

5) 문장 설계: 한 줄 KPI → STAR → 증빙 링크

각 프로젝트/성과 블록은 아래 순서로 고정하세요.

  1. 한 줄 KPI 요약: “ROAS 286%, CAC –24%, 재구매 +7.8pt”
  2. STAR 3~5줄: 상황→과제→행동→성과
  3. 증빙/링크: 대시보드 스냅샷, PR/이슈, 발표자료(민감정보 제거)

채용담당자는 “숫자→근거→재현 가능성” 순서로 신뢰도를 판단합니다. 문장 첫 단어는 동사(개선했다/고도화했다/도입했다)로 시작하세요.

6) ATS 통과: 파일·형식·키워드·레이아웃 규칙

  • 파일: 텍스트 추출 가능한 PDF. 이미지·표를 과도하게 쓰지 말 것.
  • 폰트: 기본 서체, 특수문자·아이콘 최소. 컬러는 1~2톤.
  • 레이아웃: 2단 구성 지양, 표/텍스트박스 최소화(파싱 오류 방지).
  • 키워드: JD의 필수 스킬·도구 명칭을 동일 표기로 포함(SQL, GA4, Figma 등).
  • 파일명: 홍길동_ProductManager_2025.pdf처럼 역할 중심.

ATS는 ‘읽지 못하는’ 요소가 있으면 평가를 건너뛰기도 합니다. 구조보다 파싱 가능이 먼저입니다.

7) 형식·디자인: 읽히는 타이포와 금지 요소

  • 길이: 경력 5~10년은 2p 권장(최대 3p). 불필요한 기술목록은 과감히 제거.
  • 타이포: 헤더/서브헤더/본문 계층 구분, 목록은 3~5개로 제한.
  • 금지: 과장형 수식어, 의미 없는 그래프, 스크린샷 남발, 회사 기밀.

8) 포트폴리오: 3~5개 프로젝트, 문제→실행→성과

서류 심사의 결정타는 포트폴리오입니다. 슬라이드·Notion 어디든 상관없지만, 모든 프로젝트를 아래 순서로 통일하세요.

  1. 문제: 왜 이 프로젝트가 필요했는가(지표/페인)
  2. 가설: 어떤 효과를 노렸는가(가정·메트릭)
  3. 실행: 핵심 액션 3~5개(도구, 협업, 의사결정)
  4. 성과: KPI 변화(%, 배, pt, 시간/비용)
  5. 인사이트: 배운 점·다음 사이클 개선 포인트

보안이 걱정된다면 지표 범위·상대값·마스킹으로 대체하고, 고객/데이터 식별정보는 제거합니다.

9) 자주 틀리는 포인트 10가지

  1. 업무 목록만 나열하고 성과 숫자가 없다.
  2. 문장이 길고, 첫 단어가 명사로 시작한다(동사로 시작).
  3. 2단·테이블·이미지 위주로 ATS가 읽기 어렵다.
  4. 파일명이 역할 중심이 아니다.
  5. JD 핵심 키워드가 동일 표기로 들어가지 않았다.
  6. 포트폴리오 링크가 없거나, 접근권한이 막혀 있다.
  7. 성과가 개인/팀 기여도로 분리되지 않았다.
  8. 최근 12~18개월 성과가 빠져 있다.
  9. 보안 정보 노출 위험(스크린샷 원본 포함)이 있다.
  10. 상·중·하단 요약 문장이 없다(채용담당자는 요약부터 본다).

10) 최종 체크리스트(다운로드용 구조)

  • 상단 3줄 요약: 역할·연차·핵심지표 3개(숫자)
  • 경력 항목: 1줄 KPI 요약 → STAR 3~5줄 → 증빙/링크
  • ATS: 텍스트 PDF, 키워드 동일 표기, 표/박스 최소화
  •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3~5개, 문제→가설→실행→성과→인사이트
  • 파일명/연락처: 역할 중심 파일명, 최신 연락처/링크

11) FAQ

Q1. 숫자를 내기 어려운 직무인데 어떻게 하나요?
A. 처리량/정확도/시간/비용/만족도 같은 간접 지표로 전환하고, 전년/전분기 대비 상대값을 제시하세요.
Q2. 프로젝트가 많습니다. 몇 개를 넣을까요?
A. 포지션과 가장 관련된 3~5개만 본문에, 나머지는 링크로 보강합니다.
Q3. 내부 보안이 걱정됩니다.
A. 민감정보는 마스킹, 지표는 범위/상대값으로 전환하세요.

업데이트: 2025-09 · 작성: Lifexus 편집팀

함께 읽기: 링크드인 프로필 리뉴얼 가이드 2025 – 헤드헌터에게 보이는 설정 15가지 함께 읽기: AI 면접 2025 완전공략 – 질문은행·STAR 답변·시선·톤 체크리스트 함께 읽기: 연봉협상·오퍼 리뷰 2025 – 총보상(TC) 체크리스트와 메일 템플릿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