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커리어 · 2025 가이드
AI 면접 2025 완전공략|질문은행·STAR 답변·시선·톤·환경 셋업

AI 면접의 핵심은 질문은행 파악, STAR 압축, 그리고 시선·톤·속도 입니다.
1) 왜 AI 면접인가: 평가 항목과 점수화 구조
AI 면접은 대량 지원자 선별을 위한 초기 스크리닝입니다. 시스템은 녹화된 답변을 콘텐츠(무엇을 말했는가), 딜리버리(어떻게 말했는가), 규범(시간·질문 일치·정책 준수)의 축으로 분석합니다. “좋은 답”은 내용의 정확성, 구조의 명료성, 전달력의 안정성이 곱셈으로 작동합니다. 하나라도 0에 가까우면 전체 점수는 급락합니다.
2) 환경 셋업: 조명·카메라·마이크·네트워크
2-1. 조명
- 전면 링 라이트를 눈높이, 카메라 뒤 30~50cm. 밝기 60~75%에서 피부 하이라이트가 날아가지 않는지 확인.
- 보조 조명 1개로 그림자 완화. 벽 반사 사용(간접광)으로 부드럽게.
- 배경은 무채색 벽/커튼이 안전. 책장·세탁물·포스터는 감점 요인.
2-2. 카메라
- 렌즈 높이는 아이레벨+1~2cm. 광각 왜곡 방지.
- 프레이밍: 가슴 윗부분~머리 여백 약간. 머리 상단이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2-3. 마이크
- 콘덴서 마이크 입에서 15~20cm. 팝필터·쇼크마운트 권장.
- 노이즈 게이트/로우컷을 켠 테스트 녹화 30초로 잡음을 확인.
2-4. 네트워크·기기
- 유선 또는 안정된 5GHz. 백그라운드 업/다운로드 중지, 알림 OFF.
- 브라우저 탭 최소화, 자동 업데이트 잠시 중지, 백업 이어폰·모바일 준비.
세팅은 테이핑으로 물리적 위치를 표시해 재현성을 확보하세요.
3) 질문은행 12 분류와 키워드 프롬프트
질문은 반복 패턴입니다. 아래 12 분류의 키워드 3개씩만 고정해도 대부분 커버됩니다.
# | 분류 | 핵심 키워드 | 샘플 질문 |
---|---|---|---|
1 | 자기소개 | 핵심경력·숫자·도메인 | 본인을 60초로 소개해보세요. |
2 | 강점/약점 | 보완 루틴·학습 | 약점을 어떻게 다룹니까? |
3 | 문제해결 | 원인→가설→실험 | 최근 해결한 난제는? |
4 | 협업/갈등 | 역할·합의·의사소통 | 갈등을 해결한 경험? |
5 | 리더십 | 목표·동기·성과 | 리더십을 발휘한 사례? |
6 | 실패/학습 | 원인·교훈·재발방지 | 실패로부터 배운 점? |
7 | 윤리/보안 | 데이터·프라이버시 | 윤리 이슈 대응은? |
8 | 직무지식 | KPI·도구·프레임 | 핵심 지표는 무엇? |
9 | 케이스 | 가설·우선순위·해법 | 전환율을 올리려면? |
10 | 적합성/동기 | 미션·문화·성장 | 왜 우리 회사인가? |
11 | 장래계획 | 학습·성장·리더십 | 3년 목표는? |
12 | 꼬리질문 | 리스크·대안·반례 | 지표가 낮아지면? |
동일 질문에도 키워드 힌트가 반복 등장하면 점수가 안정됩니다. 불필요한 수식어 대신 핵심 명사를 먼저 배치하세요.
4) STAR 90초 스크립트(템플릿·예시)
대부분 60~120초입니다. 90초를 표준으로 잡고 문장 길이를 고정하세요.
- S(상황) 2문장: 맥락·지표·제약(팀/기간/규모)
- T(과제) 1문장: 성공 기준(KPI·시간)
- A(행동) 3문장: 핵심 실행 3개(도구/의사결정/협업)
- R(성과) 2문장: 숫자·학습·다음 사이클
예시 — “체크아웃 이탈률이 42%로 높았습니다(S). 분기 내 전환 +10pt 목표 하에, 세션 리플레이로 병목을 특정하고 결제 오류 로그로 재시도 흐름을 신설, A/B(3안)로 버튼·검증 순서를 조정했습니다(A). 결과 전환 +21%, CS 문의 –14%를 달성했고, 실패 알림 자동화로 재구매율도 +3.2pt 상승했습니다(R).”
스크립트는 암기문이 아니라 구성 템플릿입니다. 키워드만 외우고 현장에서 조립하세요.
5) 시선·톤·속도·제스처 운영
- 시선: 카메라 옆 키워드 포스트잇 3장. 좌우 ‘독서 시선’ 금지.
- 톤: 낭독이 아니라 설명. 문장 끝 상승 억제, 핵심어만 억양.
- 속도: 280~330자/분(국문). 문단 사이 0.5~0.8초 정지.
- 제스처: 프레임 안, 가슴 높이 2~3회. 손바닥 보이는 열린 제스처.
- 버퍼 문구: “두 가지로 답하겠습니다”, “핵심만 정리하겠습니다”로 흐름 고정.
6) 7일 모의면접 루틴(30분 ×7)
- Day1 장비·조명·배경 고정(테이핑), 90초 타이머 습관
- Day2 자기소개·강점/약점 10문항 녹화→피드백
- Day3 문제해결·협업/갈등 10문항
- Day4 직무지식·케이스 10문항(KPI 용어 정확화)
- Day5 꼬리질문(리스크·반례·대안) 대응
- Day6 랜덤 10문항 종합 모의, 체크리스트 채점
- Day7 실전 리허설: 같은 시간·복장·세팅으로 전 범위 리허설
7) 직무별 가점 포인트(PM/개발/디자인/마케팅/세일즈)
직무 | 가점 포인트 | 예시 문장 |
---|---|---|
PM/PO | 문제정의→KPI→우선순위 | “OKR 하에 NPS +12, 7일 잔존 +9.4pt” |
개발 | 품질·속도·안정성 | “MTTR –48%, Lead time –35%” |
디자인 | 전환·접근성·테스트 | “체크아웃 전환 +21%, WCAG AA 통과” |
마케팅 | 수익성·세그먼트·리텐션 | “ROAS 286%, CAC –24%, 리텐션 +8pt” |
세일즈 | MRR·Win rate·사이클 | “MRR +38%, 영업기간 –17일” |
8) 감점 시그널·탐지 포인트(프롬프터·시선·잡음)
- 프롬프터/스크립트 읽기 흔적: 시선이 좌→우 일정 속도로 움직임, 문장 억양이 단조로움 → 감점 또는 탈락.
- 잡음/에코: 냉장고·에어컨·거리 소음. 노이즈 게이트·저역 컷 활용.
- 프레임 밖 제스처, 과한 고개 끄덕임, 초과 시간(빨리 말하기로 덮지 마라).
9) 정책·보안·개인정보
- 회사·고객 식별 정보, 내부 재무 지표, 원본 스크린샷 노출 금지. 지표는 범위/상대값으로.
- 개인 계정·클라우드 동기화 일시중지. 화면 공유 시 더미 파일만 노출.
- 부정행위 의심 기능 대비: 메모는 카메라 옆 키워드 3장 정도만 허용.
10) 트러블슈팅: 흔한 실패 10가지와 즉시 수정
- 첫 문장이 흔들린다 → “두 가지로 답하겠습니다”로 시작해 구조를 고정.
- 시간 초과 → 90초 스크립트에서 A(행동) 1문장을 줄여 8문장 구성.
- 시선 불안 → 카메라 옆 점 스티커, 모니터는 눈높이 아래로.
- 톤이 낭독 → 문장 끝 하강, 핵심어만 억양.
- 속도가 빠름 → 문단 사이 0.8초 정지, 호흡 4-4.
- 키워드 누락 → 질문마다 키워드 3개 확인용 포스트잇.
- 배경 어수선 → 무지 커튼/담요, 책상 정리 3분.
- 마이크 팝핑 → 거리 15~20cm, 팝필터.
- 네트워크 끊김 → 테더링 백업 준비, 업데이터 중지.
- 표정 경직 → 눈썹·미소 ‘1cm 규칙’: 답 시작과 끝에만 가볍게.
11) 시험 직전 체크리스트
- 링 라이트 60~75%, 보조 조명 1개, 역광 금지
- 카메라 아이레벨+1~2cm, 프레이밍 가슴~머리
- 마이크 15~20cm, 테스트 녹화 30초, 게이트·로우컷
- 알림 OFF, 백그라운드 전부 중지, 백업 이어폰 옆에
- 90초 타이머, 문단 사이 0.5~0.8초 정지
- 키워드 포스트잇 3장, 버퍼 문구 2개 암기
12) FAQ
- Q1. 떨림이 심합니다. 어떻게 줄이나요?
- A. 첫 문장 고정(“두 가지로 답하겠습니다”) + 호흡 4-4를 3분만 반복해도 떨림이 현저히 줄어듭니다. 타이머는 문단 끝에서만 확인하세요.
- Q2. 생각이 안 날 때 대처법은?
- A. 버퍼 문구로 흐름을 세운 뒤 질문 키워드 3개를 순서대로 설명하세요. 예: “핵심 두 가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문제정의, 실행, 성과.”
- Q3. 배경이 좁고 지저분합니다.
- A. 무지 커튼/롤스크린 하나면 해결됩니다. 벽과 50cm 이상 거리, 측면 램프로 그림자만 정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