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커리어 · 2025 가이드
링크드인 프로필 리뉴얼 가이드 2025|헤드헌터에게 보이는 설정 15가지
 1) 왜 지금 링크드인 리뉴얼인가
링크드인은 단순한 프로필 저장소가 아니라 검색 포털입니다. 리크루터는 역할·지역·스킬 조합으로 후보를 찾고, 첫 화면에서 헤드라인·최근 성과 숫자·현재 소속만 보고도 컨택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글은 ‘보이는 구조’로 바꾸는 것이 목표입니다. 텍스트를 예쁘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검색·스캔·컨택을 쉽게 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2) 헤드라인·요약(About) 작성 공식
2-1. 헤드라인 120자 규칙
- 역할 + 핵심성과(숫자) + 핵심도구(동일 표기) + 관심영역(선택)
 - 예시: Product Manager|7일 잔존 +9.4pt · 결제 전환 +6.2pt|SQL · A/B · Amplitude|커머스/구독
 - 불용어(열정/성실/노력) 삭제, 약어는 풀네임+약어 병기(처음 한 번)
 
2-2. 요약(About) 3 문단 템플릿
- 현 포지션·강점·숫자 – “온보딩 개편으로 7일 잔존 +9.4pt”
 - 전문 도메인·도구 – “구독/커머스, SQL·A/B·Amplitude·OKR 운영”
 - 현재 관심·컨택 – “프로덕트 애널리틱스/결제, 서울/원격, 이메일/DM 환영”
 
3) JD에서 키워드 뽑아 스킬·경력에 매핑하기
리크루터 검색은 결국 키워드 매칭입니다. 공고(JD) 3~5개에서 필수 스킬·도구·도메인 명사를 추출해 ‘동일 표기’로 사용하세요.
| 분야 | 핵심 키워드(동일 표기) | 경력 연결 문장 예시 | 
|---|---|---|
| PM/PO | SQL, A/B testing, Amplitude, OKR | Amplitude 퍼널 분석·A/B로 결제 전환 +6.2pt | 
| 마케팅 | GA4, ROAS, CRM, LTV | CRM 세그먼트 리뉴얼로 리텐션 +8pt, ROAS +147% | 
| 엔지니어링 | CI/CD, MTTR, SLO | 장애 MTTR –48%, 릴리즈 리드타임 –35% | 
| 데이터 | Airflow, dbt, AB test | 파이프라인 장애율 –72%, 월 실험 +11건 | 
| 디자인 | Figma, WCAG, AA | 체크아웃 UI 개선, 접근성 AA 통과 | 
동의어를 남발하기보다, 채용 공고에 적힌 표기 그대로 쓰는 것이 검색 적합도가 높습니다. 국문/영문이 혼재할 땐 주요 키워드는 영문 표기를 우선합니다.
4) 경력 섹션: 1줄 KPI + STAR 3~5줄
각 경력 항목은 한 줄 KPI 요약 다음에 STAR 3~5줄을 붙여 스캔이 쉽게 만듭니다.
- 문장 시작: 개선/고도화/도입 등 동사로
 - 숫자: %/배/pt/원/시간
 - 도구: JD 동일 표기
 
예시 — “온보딩 이탈률(42%) 개선 과제에서, 세션 리플레이·퍼널 분석으로 병목을 특정하고 A/B(3안)로 버튼·에러 핸들링을 수정해 전환 +21%, CS 문의 –14%.”
5) 프로젝트·성과 하이라이트 공개 규칙
- 문제→가설→실행→성과→인사이트 순으로 정리
 - 보안 이슈는 범위/상대값·마스킹·더미 스크린으로 대체
 - 매달 1개 프로젝트를 스레드형 포스트로 쪼개 업로드(검색·활동 점수↑)
 
6) Open to Work·연락·위치 설정(비노출 전략 포함)
- Open to Work는 공개 범위를 “리크루터만”으로(현 직장 노출 최소화)
 - 연락처: 이메일·포트폴리오 링크 최신화, DM 허용
 - 위치/근무 형태: 가능 지역·타임존·출근/원격 선호
 
7) 리크루터 검색에 잘 잡히는 구조(헤시·산업·지역)
검색 노출을 올리는 요소는 단순합니다. 산업·직무·지역을 명확히 표기하고, 같은 키워드를 헤드라인/요약/경력/스킬에 반복해서 배치하세요. 직무명은 ‘PM/PO’처럼 흔한 약어와 ‘Product Manager’의 풀네임을 함께 사용하면 검색 커버리지가 넓어집니다.
8) 활동·게시물 운영 루틴(월 1~2회)
- 월간 1회 프로젝트 스레드: 문제→실행→숫자→다음 사이클
 - 격월 1회 리서치/분석 노트: 도메인 인사이트를 숫자로 정리
 - 댓글은 ‘감사·추가지표·링크’ 3요소로 작성(검색 노출에 도움)
 
9) 추천서 받는 법(초안 제공 템플릿)
추천 의뢰는 “프로젝트 종료 직후”가 성공률이 높습니다. 아래 초안을 보내고 승인만 받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 “함께한 [프로젝트명]에서 [역할]을 맡아 [문제]를 해결했고, 결과로 [지표]가 [숫자] 개선되었습니다.”
 - “특히 [도구/협업] 측면에서 [구체 기여]가 돋보였습니다.”
 - “차기 포지션에서도 [역할/도메인]에 적합하다고 확신합니다.”
 
10) 포트폴리오·링크 첨부 구조(Notion·GitHub·Behance)
서류 심사의 결정타는 포트폴리오입니다. Notion/슬라이드/GitHub/Behance 어디든 상관없지만, 접근권한과 목차를 표준화하세요.
- 표지: 역할·핵심지표·연락처
 - 프로젝트 3~5개: 문제→가설→실행→성과→인사이트
 - 부록: 데이터 샘플·와이어·쿼리(민감정보 제거)
 
11) 영문/국문 병행 전략(다국어·타임존)
- 영문 프로필은 직무명/도구를 글로벌 표기로(예: “Product Manager, SQL, A/B testing”)
 - 국문/영문 모두 운영 시 경력·숫자가 동일해야 신뢰를 얻습니다.
 - 타임존·근무 가능 지역 명시(리모트/하이브리드)
 
12) 개인정보·보안·사생활 보호
회사·고객 식별 정보, 내부 재무수치, 원본 스크린샷 등 민감정보는 마스킹하고 지표는 범위/상대값으로 전환합니다. 링크 접근권한은 “링크 소지자 열람”으로 테스트하세요.
13) 자주 틀리는 12가지와 빠른 수정
- 헤드라인에 숫자가 없다 → 최근 12~18개월 성과 2~3개를 넣는다.
 - JD 키워드가 다르다 → 동일 표기로 교체한다.
 - 경력 항목이 업무 나열 → 1줄 KPI → STAR 3~5줄로 바꾼다.
 - 포트폴리오 접근 불가 → 권한/링크 재점검.
 - Open to Work가 전체 공개 → 리크루터만으로 전환.
 - 스킬이 나열식 → 성과 문장에 녹여 넣는다.
 - 영문/국문 내용 불일치 → 숫자·기간·직무를 통일.
 - 연락처 미기재 → 이메일·포트폴리오를 상단에.
 - 활동 0 → 월 1회 이상 게시물/댓글 운영.
 - 직무명 약어만 → 풀네임+약어 병기.
 - 지역/근무형태 모호 → 가용 지역·원격 여부 명시.
 - 과장 표현/기밀 노출 → 검증 가능 문장·마스킹 준수.
 
14) 최종 체크리스트(15가지)
- 헤드라인 120자 내 역할·성과·도구 압축
 - About에 최근 12~18개월 숫자 성과
 - 경력 각 항목: 1줄 KPI 요약 + STAR 3~5줄
 - JD 핵심 키워드 동일 표기(영문 우선)
 - Open to Work: 리크루터만 공개
 - 연락처·포트폴리오 링크 최신화
 - 지역/근무형태 명시, 타임존 표기
 - 추천서 2~3개(숫자 포함) 요청
 - 활동 월 1~2회 루틴
 - 프로젝트 3~5개, 문제→실행→성과→인사이트
 - 보안: 마스킹·범위·상대값
 - 영문/국문 수치 일치
 - 파일·링크 접근권한 점검
 - 스킬은 성과 문장에 녹이기
 - 프로필 파일명/링크 네이밍 정리
 
15) FAQ
- Q1. 숫자화를 어떻게 시작하나요?
 - A. 대시보드/CRM/헬프데스크/로그 등 기록 가능한 소스를 정리하고, 전년/전분기 대비 상대값으로 먼저 작성하세요.
 - Q2. 내용이 많은데 글이 길어집니다.
 - A. 경력 항목마다 1줄 요약과 불릿 3~5개만 허용하는 규칙을 걸면 스캔이 쉬워집니다.
 - Q3. 추천서가 부담스러워요.
 - A. 프로젝트 종료 직후에 초안을 보내 승인만 받는 방식이 가장 효율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