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정보 · 2025 가이드
취업준비 로드맵 2025|30·60·90 체크리스트

취업 준비의 핵심은 루틴 × 템플릿 × 파이프라인 입니다.
왜 30·60·90인가
채용은 유입→스크리닝→과제→면접→오퍼의 퍼널입니다. 같은 역량이라도 루틴화된 실행과 템플릿화된 문서, 겹쳐진 파이프라인이 결과를 바꿉니다. 30일은 기반, 60일은 전개, 90일은 마무리로 나눠 매주 측정 가능한 산출물을 만들면 체감 성과가 빠릅니다.
Day 1~30: 기반 구축(문서·프로필·환경)
1) 이력서·포트폴리오
- 요약 4줄에 최근 12~18개월 숫자 2~3개 삽입(전환·잔존·MTTR 등).
- 경력 항목은 1줄 KPI + STAR 불릿 3~5개(2줄 이하·동사 시작·숫자 포함).
- 포트폴리오는 프로젝트 3~5개, 문제→가설→실행→성과→인사이트.
2) 링크드인
- 헤드라인은 직무·도메인·지표 3요소. 예) “Product Manager · Payments · +21% Checkout CR”.
- 요약에 키워드·도구·성과를 한 문단으로, 공개범위/오픈투워크 설정.
3) AI 면접/환경
- 카메라 아이레벨+1~2cm, 링 라이트 60~75%, 마이크 15~20cm.
- 질문은행 12분류, 90초 STAR 스크립트 10개 기록 → 매일 10문항 모의.
4) 채용 캘린더/리서치
- 관심 기업 20곳 북마크, 리크루터 5명 라인 열기, Q4~Q1 캘린더 세팅.
Day 31~60: 파이프라인 전개(지원·과제·면접)
- 지원 주 6~10건: JD 키워드 동기화 → PDF 파서 테스트 → 제출.
- 과제 주 2건: 요구사항 재정의, 가정/범위 명시, 버전 관리.
- 면접 주 3~4회: 90초 STAR, 케이스 구조, 시선·톤·속도 표준화.
- 레퍼런스 후보 2명 사전 동의, 요약본 준비.
Tip · 파이프라인은 겹치게 운영해야 협상 레버리지가 생깁니다.
Day 61~90: 협상·최종화(오퍼·입사준비)
- 오퍼 비교표: Base/Bonus/Equity/Sign-on/Benefits/CoL/세후.
- 협업형·경쟁오퍼형 메일 템플릿으로 1차 카운터 → 서면 업데이트 확보.
- 입사일·리로케이션·원격 규칙·장비/교육비 등 실무 체크.
트래킹 표/캘린더 템플릿
회사/포지션 | 상태 | 담당자 | 다음 행동/기한 | 메모 |
---|---|---|---|---|
Acme / PM | 스크리닝 | 리크루터 A | 요건 질의 메일(9/20) | 오픈투워크 확인 |
Beta / Backend | 과제 | 리드 B | 버전1 제출(9/23) | 테스트 기준 명시 |
간단한 스프레드시트로 시작하되, 기한 컬럼을 강조해 누락을 막으세요.
이메일 템플릿(요청·팔로업·타임라인)
요건 질의
- 역할 스코프/레벨/팀 구조
- 필수·우대 스킬(우선순위)
- 전형 구성/과제 유무/타임라인
- 연봉 밴드/주식/사인온 정책
면접 후 팔로업
- 감사 인사 + 인터뷰 핵심 1~2줄 재요약
- 추가 자료 링크(대시보드/케이스 요약)
- 다음 단계 타임라인 문의
도구·환경 셋업
- 문서: Google Docs/Notion, 포트폴리오 링크 권한 ‘링크 소지자’.
- 면접: 90초 타이머, 소음 제거 마이크, 조명 테이핑(재현성).
- 알림 규칙: 09~21시 인터뷰 가능 시간 블록, 캘린더 공유.
최종 체크리스트
- 요약 4줄·숫자 2~3개·포트폴리오 링크
- JD 키워드 매칭, ATS 파서 테스트 통과
- AI 면접 90초 스크립트 10개, 모의 10문항/일
- 파이프라인 2~3곳 동시 진행, 일정 동기화
- 오퍼 비교표·데드라인 연장 요청 문구 준비
FAQ
- Q1. 시간이 너무 없습니다. 핵심만 하면?
- A. 이력서 요약 4줄·STAR 불릿 10개·링크드인 헤드라인·AI면접 90초 5개부터. 하루 45분이면 시작 가능합니다.
- Q2. 숫자를 못 구합니다.
- A. 대시보드/로그에서 상대값(%, pt, 배)만 확보해도 충분합니다. “전년 대비 +X%”처럼.
- Q3. 공고가 없어도 지원해도 되나요?
- A. 가능합니다. 팀 인사이트 3줄·핵심 지표 2개를 적은 인바운드 메일로 관심 표명 후 알림 요청하세요.